[BOJ] 연산자 끼워넣기 - 14888 (S1)
| 시간 제한 | 메모리 제한 |
|---|---|
| 2 초 | 512 MB |
문제
N개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 A₁, A₂, …, Aₙ이 주어진다. 또, 수와 수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는 N-1개의 연산자가 주어진다. 연산자는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×), 나눗셈(÷)으로만 이루어져 있다.
우리는 수와 수 사이에 연산자를 하나씩 넣어서, 수식을 하나 만들 수 있다. 이때, 주어진 수의 순서를 바꾸면 안 된다.
예를 들어, 6개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1, 2, 3, 4, 5, 6이고, 주어진 연산자가 덧셈(+) 2개, 뺄셈(-) 1개, 곱셈(×) 1개, 나눗셈(÷) 1개인 경우에는 총 60가지의 식을 만들 수 있다.
식의 계산은 연산자 우선 순위를 무시하고 앞에서부터 진행해야 한다. 또, 나눗셈은 정수 나눗셈으로 몫만 취한다. 음수를 양수로 나눌 때는 C++14의 기준을 따른다. 즉, 양수로 바꾼 뒤 몫을 취하고, 그 몫을 음수로 바꾼 것과 같다.
N개의 수와 N-1개의 연산자가 주어졌을 때, 만들 수 있는 식의 결과가 최대인 것과 최소인 것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2 ≤ N ≤ 11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A₁, A₂, …, Aₙ이 주어진다. (1 ≤ Aᵢ ≤ 100) 셋째 줄에는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의 개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만들 수 있는 식의 결과의 최댓값을, 둘째 줄에는 최솟값을 출력한다.
풀이
이 문제는 백트래킹을 이용한 브루트포스 문제이다. 가능한 모든 연산자 조합을 시도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찾는다.
접근 방법
핵심 아이디어
- DFS를 이용하여 모든 연산자 배치 조합을 탐색
- 각 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연산자를 선택하고 계산
- 모든 수를 사용했을 때 결과를 비교하여 최대/최소 갱신
백트래킹 과정
- 현재 결과값과 사용할 다음 수를 가지고 재귀
- 각 연산자 종류별로 남은 개수가 있으면 시도
- 연산 후 다음 단계로 진행
- 백트래킹: 연산자 개수 복구
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operate = ['+', '-', '*','/']
N = int(input())
num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operator_counte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operator_cnt = sum(operator_counter)
max_com = -float('inf')
min_com = float('inf')
def compute(a, b, op_i):
if op_i == 0:
return a + b
elif op_i == 1:
return a - b
elif op_i == 2:
return a * b
elif op_i == 3:
return int(a / b)
def dfs(operator_counter, result, n=0):
global max_com, min_com
if n == operator_cnt:
max_com = max(max_com, result)
min_com = min(min_com, result)
return
for i, cnt in enumerate(operator_counter):
if cnt == 0:
continue
operator_counter[i] -= 1
dfs(operator_counter, compute(result, nums[n+1], i), n+1)
operator_counter[i] += 1
dfs(operator_counter, nums[0])
print(max_com)
print(min_com)
코드 설명
compute 함수
1
2
3
4
5
6
7
8
9
def compute(a, b, op_i):
if op_i == 0:
return a + b
elif op_i == 1:
return a - b
elif op_i == 2:
return a * b
elif op_i == 3:
return int(a / b)
- 연산자 인덱스에 따라 계산 수행
- 나눗셈은
int(a / b)로 처리 (음수 나눗셈 처리)
dfs 함수
1
2
3
4
5
6
def dfs(operator_counter, result, n=0):
global max_com, min_com
if n == operator_cnt:
max_com = max(max_com, result)
min_com = min(min_com, result)
return
n: 현재까지 사용한 연산자 개수- 모든 연산자를 사용했으면 결과 갱신
백트래킹
1
2
3
4
5
6
for i, cnt in enumerate(operator_counter):
if cnt == 0:
continue
operator_counter[i] -= 1
dfs(operator_counter, compute(result, nums[n+1], i), n+1)
operator_counter[i] += 1
- 각 연산자 종류에 대해 남은 개수가 있으면 시도
- 연산자 사용 (
-= 1) - 재귀 호출
- 백트래킹: 연산자 복구 (
+= 1)
시간 복잡도
최악의 경우 N-1개의 연산자를 배치하는 모든 경우의 수는 (N-1)!이다. 하지만 중복된 연산자가 있으므로:
\[\frac{(N-1)!}{\text{각 연산자 개수의 팩토리얼 곱}}\]N ≤ 11이므로 최대 10! / (중복) ≈ 3,628,800 정도로 충분히 시간 내에 해결 가능하다.
주의 사항
- 연산 순서: 연산자 우선순위 무시, 앞에서부터 계산
- 음수 나눗셈:
int(a / b)로 처리 (C++14 기준) - 초기값: 최대값은
-inf, 최소값은+inf로 초기화 - 백트래킹: 연산자 개수를 원상복구해야 다른 경로 탐색 가능
음수 나눗셈 처리
파이썬의 // 연산자는 내림 나눗셈이므로 음수에서 C++과 다르게 동작한다:
- C++:
-7 / 3 = -2(0으로 향하는 버림) - Python
//:-7 // 3 = -3(음의 무한대로 향하는 내림) - Python
int():int(-7 / 3) = -2(0으로 향하는 버림)
따라서 int(a / b)를 사용해야 정확하다.